MySQL 에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와 데이터 베이스 와 표 (table) 이 있다.
가장 큰 부분은 데이터 베이스 , 그속에 데이터 베이스, 그속에 표가 있는 것이다.
데이터베이스 서버 > 데이터 베이스 > 표(table) 이다.
표는 어떤 모양으로 생겼는가? 열과 행으로 이루어진게 보편적이다
| id | title | description | created | color | favor |
| 1 | apple | apple is.. | 2023-05-18 | red | good |
| 2 | carrot | carrot is.. | 2023-05-18 | orange | bad |
| 3 | banana | banana is... | 2023-05-18 | yellow | good |
| 4 | peach | peach is... | 2023-05-18 | red | good |
위에 표는 4개의 행과 6개의 열로 만들어진것이다.
첫번째 행에는 우리가 가진 정보들의 종류(기준?)가 있다. 그리고 다음 행부터 그 정보들은 무엇인지 나열해주고 있는것이다.
MySQL 을 통해서 저런 모양의 표를 만들어보자
그럼 이제 바로 MySQL 을 실행해보자

명령 실행창 (cmd) 를 켜서 mysql 이 있는 폴더를 찾아주고
위에 명령어 처럼 mysql -uroot -p를 치고 비번을 쳐서 실행해주자
그러고 나면 웰컴 모시깽이가 나오고 이제 기본 글이 mysql> 로 바뀌게 된다.


이렇게
이렇게 우린 데이터 베이스서버에 접속하게 된것이다. 그럼 테이블을 만들기 위해선 데이터베이스가 있어야 하는데
데이터 베이스는 어떻게 만들수 있을까 ?
CREATE DATABASE 데이터베이스이름 ;
이런 명령어를 치면 된다. 앞으로 모든 명령어 마지막에는; 를 치고 엔터를 눌러야 된다.

제대로 완료되면 이렇게 된다. 나는 데이터베이스 이름을 food 라고 했다.
그럼 food 란 데이터베이스가 잘 만들어졌는지 확인해보자
SHOW DATABASES; (마지막에 S가붙는다 ) 를 쳐보자

그럼 이렇게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있는 데이터베이스 목록이 다뜬다
보면 food 가 있고 잘들어간게 확인된다.
자 데이터베이스도 만들었으니 이제 저 food 라는 데이터 베이스 안에 표(table ) 를 만들어보자
그러기 위해서 첫번째로 저 food 를 사용한다고 알려줘야한다.
USE food; 이렇게 치면

이런 결과가 나오고 이제 우리가 치는 명령어가 저 food 란 데이터 베이스 안에서 작동될것이다.
표를 만들어보자
일단 우리는 위에 있는 표처럼 첫번째 행인 어떤 정보들의 기준을 만들어 줘야한다.
여기서부터 쳐야 되는 명령어가 좀 길어진다.
CREATE TABLE 표이름(
id INT(11)NOT NULL AUTO_INCREMENT,
title VARCHAR(100) NOT NULL,
description TEXT NULL,
created DATETIME NOT NULL,
color VARCHAR(15)NULL,
favor VARCHAR(100) NULL
PRIMARY KEY(id)
);
이런식으로 치면된다. 표이름이라고 된부분에는 원하는 이름을 써주면 된다.

한번에 붙여써서 좀 지저분하게 됐는데 중간 중간에 엔터 치면서 문단을 변경해줘도 된다.
그리고 이제 그럼 우리가 만든 표 뼈대를 확인해보자.
DESC topic; ( 난 표이름을 topic 이라고 했다. 각자 정한 표이름을 입력하면된다) 를치면

이런식으로 나오게된다.
근데 이제 표 뼈대를 만들때 이상한 명령어 INT VARCHAR DATETIME 등 을 쳤었는데 그 뜻이 무엇인지 설명할차례이다.
id 뒤에 있는 int 는 id 에 정수 형태의 정보가 들어갈거라고 정하는 것이다. 그리고 NOT NULL 이란 무조건 이 값이 필요한다는 뜻이다. NULL 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인데 NOT 이 들어감으로 필수한 값이라고 정한것이다.
그리고 auto_increment 란 정보를 추가할떄 id 를 1씩 자동으로 증가해주게 하는것이다. id 는 어차피 1,2,3,
4,5, 이렇게 고정적인 값으로 추가될꺼니까 이런식으로 지정해준다.
그리고 varchar(100) 는 100 글자 이내에 정보만 입력할 것이다. 라는 뜻이다.
text 는 varchar 보다 훨씬더 많은 글자를 쓸수있게 해주는 타입이다.
datetime 은 날짜와 시간을 추가해주는 것이다.
그리고 마지막으로 primary key(id) 는 가장 메인으로 갖는 값은 id 이고 이걸로 표를 식별할수있고 중복된값은 넣을수 없다고 설정해주는것이다.
자이제 표 뼈대를 만들었으니 그에 맞는 정보를 넣어볼 시간이다.
INSERT INTO topic (title,description,created,color,favor) VALUES('apple','apple is...',NOW(),'red','good');
이렇게 하나의 행을 추가해줄수있다. 그리고 SELECT *FROM topic; 을치면 topic 이 나타난다.

이런식으로 나머지 행들도 추가해주면된다.

자 이렇게 표가 완성 되었다. !!!!!!!!!!
끝 !
참고한 강의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h_XDmyz--0w&list=PLuHgQVnccGMCgrP_9HL3dAcvdt8qOZxjW
'MySQ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문제 2 . 어린동물 찾기 (0) | 2024.07.02 |
|---|---|
| 문제 1. 아픈 동물 찾기 (0) | 2024.07.02 |
| 2개의 칼럼 값 바꾸기 ,그룹 함수 (0) | 2023.07.13 |
| XAMPP 와 SQLyog community 이용해서 데이터 베이스 만들기, 간단한 표 만들기 (0) | 2023.07.12 |
| SELECT , UPDATE, DELETE (0) | 2023.05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