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늘은 @Transactional(readOnly = true) 이거좀 탐구해보자
일단https://hungseong.tistory.com/74
@Transactional(readOnly = true)를 왜 붙여야 하나요
스프링으로 개발하면서 필연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@Transactional. 우리는 스프링의 AOP를 통해 @Transactional 어노테이션만으로 손쉽게 Service Layer에서 트랜잭션을 걸 수 있다. 일반적으로, 조회용 메서
hungseong.tistory.com
이블로그에서 아주 자세하게 잘 설명해주고 있다. !
성능에 대해서만 얘기해보려 한다.
아직 내가 모르는 단어들도 많이 나와서 다 이해는 가지 않지만
간단하게 보자면 원래 @Transactional 을 쓰면 초기 상태 정보를 저장해놨다가 변경된 내용이 있으면 수정이 들어가는데
readOnly = true 를 하면 조회용으로 만 쓰일 거니까 초기 상태를 저장해두지 않아서 메모리 아낄수가있어 성능면으로 더
좋다고 한다.
'자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Filter 사용 시 알게된 점 1 (0) | 2025.05.12 | 
|---|---|
| Arrays.binarySearch , 이진 검색 알고리즘 (0) | 2024.03.14 | 
| 티스토리 java 코드 쓸때 주위 블럭 여백 없애기 (0) | 2023.09.05 | 
| Java split(조건)으로 문자열 나누기 (0) | 2023.09.05 | 
| 이클립스 코드 수정 사항 적용 안될 때 해결 방법 (0) | 2023.07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