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로젝트를 만들어봤으니 이제 로컬이 아니라 어디서든 내 사이트를 접속할수있게 aws ec2 서비스를 이용해서
서버를 대여(?) 해서 프로젝트를 실행시켜보았다.
예전에 한번 해본적이 있지만 까먹었기에 여기에 다시 적어보면서 또 볼려고 한다.
일단 내가 참고한 유튜브 영상링크를 올려본다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29bnOjIOeec&t=3s
이제 기본적인 aws ec2 를 만들때 설정하고 하는거 이다
근데 위 영상에서는 인스턴스 유형을 small 로 하고 스팟 인스턴스도 요청 했는데
나는 아직 프리티어 기간이 남아있어서 마이크로 유형으로 했다.
대신 마이크로는 메모리 용량이 작아서 멈춤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는데
https://gogo-coding.tistory.com/260 그땐 이 포스팅에 쓴데로 해결했다.
그리고 터미널 툴은 영상 처럼 엑스쉘을 사용했다.
아무래도 프로젝트를 계속 구동하면서 수십번 동안 터미널을 계속 썼기때문에
리눅스 명령어나 용어, 규칙에 대해서 좀 더 알게 되었다.
리눅스는 대소문자를 다 구분하고 뭔가 더 깐깐한? 느낌이었다.
그래서 로컬에서는 그냥 돌아가는 프로젝트가 서버에 배포시 안돌아가는 경우도 많았다.
그리고 cors 설정도 localHost:8090 로 되어있어서
.allowedOriginPatterns("*") 이걸로 바꿨었고
return "/main";
return "main";
이것처럼 앞에 / 가 있으면 내 설정에서는 템플릿 경로를 못찾을 때도 있었다.
그리고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819I0GszMp4
이 영상을 통해서 도커에 mysql 를 띄우는 것까지 해보았다.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XPtu0i3Mjag&t=640s
그리고 이제 이영상을 통해서 내 서버에 자바도 설치하고 , 그래이들도 설치하고
jar 로 내 프로젝트를 빌드 까지해서 구동하는것도 해봤다.
그리고 geolocation 를 통해 현재 위치를 찾는게 내 핵심 기능에 가장 첫번째로 필요한 것인데
그냥 aws 에서 주어진 주소로 서버를 배포하면 이기능이 작동하지 않는다.
https 로 된 서버여야지 이 기능이 작동할수 있기때문에
도메인을 사서 내가 만든 서버랑 연결?을 해주었다.
이 부분도 https://woojin.tistory.com/94
EC2 HTTPS로 연결하기 (2) - 로드밸런서로 리다이렉트 설정하고 Health check 통과하기
> 1편) 도메인 구매하고 ACM 인증서 발급하기 (링크) (도메인 구매 --> 도메인 인증 --> ACM 인증서 발급 --> Target Group 생성 --> Load Balancer 생성 --> 규칙 수정 --> Health check 성공) 2편) 로드 밸런서 사용하
woojin.tistory.com
이 블로그 글을 통해 아주 많은 도움을 얻었다.
아직 익숙치 않아서 그런가 과정은 좀 복잡한 느낌이 있었지만
그래도 도메인을 등록하고 인증서도 발급 받고 http 요청 을 https 로 하고
계속 요청을 주고 전달하는 과정에서 설정할게 많이 있었다.
'개인 프로젝트 (DNW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검색 기능 업데이트 , 정보와 검색 결과 창 탭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(0) | 2024.04.19 |
---|---|
원격 서버를 사용하는 리눅스 터미널에서 git 브랜치 추가하고 push 를 위해 git 토큰 발급 받기 (1) | 2024.04.18 |
전반적인 프론트엔드 쪽 수정 , 짜잘한 기능 수정 , 앞으로 계획? (0) | 2024.04.11 |
용량 큰 사진 업로드시 오류 해결, 파일 변경시 자동으로 사진이 업로드 되게 (0) | 2024.04.10 |
음식점 검색 기능 추가하기 (1) | 2024.04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