변수 선언
while ( 조건) {
실행문
증감식
}
for ( 변수선언; 조건; 증감식) {
실행문
}
System.out.printf("%d",10);
int dan = 8;
int i = 1;
String str = String.format("%d * %d = %d\n",dan, i, dan*i);
System.out.println(str);
이런식으로 스트링에 저장도 가능
배열
int[] arr= new int[3];
new int[3] 방 3개인 객체가 변수인 arr 안에 직접들어가 있는건 아니라.
arr 이라는 변수에는 리모콘 같은게 들어가있고 new int[3] 에도 똑같은 리모콘 같은게 있어서 arr 에서 방3개인 것들을 조종할수 있게 하는 것이다.
arr[0] = 10; 이러한 명령어가 리모콘을 써서 new int[3] 이라는 객체를 쓸수 있게 해주는 상황이다.
메모리 상에서도 아예 다른곳에서 생성 된다.
변수에는 하나의 값만 들어가는 건데 new int[3] 라는 객체가 들어가는게 아니라 연결된다고 보는게 맞다.
그림 예시)



int[] arr2 = arr; 을 함으로써 arr2 도 arr 에서 만들어진 new int[3] 객체를 조종할수 있는 리모콘을 복사 받은것이다.
그래서 아래 13줄에서 arr2[2] = 40; 으로 바꿔줬을때
arr[2] 로 값을 가져올때 같은 new int[3] 객체 안에 있는 값을 가져와서 값이 40이나온다.
그림으로 보자면 이런식이다.

저 아래 2번 상자의 30이 40으로 바뀐것이다.
'자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2023-06-16 return , 상속 (2) | 2023.06.16 |
|---|---|
| 2023-06-15 메서드 , 클래스, (0) | 2023.06.15 |
| 2023-06-11 자바 switch (0) | 2023.06.11 |
| 2023-06-04 (0) | 2023.06.04 |
| 정보 은닉 (0) | 2023.04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