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oyzWDtMquo4
안정 정렬 : 정렬 후 동일한 키 값의 요소 순서가 유지 되는 정렬
제자리 정렬 : 추가적인 메모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정렬
1 . 삽입 정렬
자료 배열의 모든 요소를 앞에서 부터 차례대로 이미 정렬된 배열
부분과 비교 하여 자신의 위치를 찾아 삽입함으로써 정렬하는 알고리즘 이다.
안정 정렬, 제자리 정렬 이라는 특성이있다.
2. 퀵 정렬
임의의 숫자를 기준으로 좌측에는 작은 값을 우측에는 큰 값을 두며
정렬하는 알고리즘 이다.
불안정정렬 이고 빠르다는 특징이 있다.
3. 병합 정렬
하나의 리스트를 두개의 균등한 크기의 부분 리스트로 분할해
정렬한 다음 정렬된 부분 리스트를 병합해 정렬하는 알고리즘이다
안정정렬 , 메모리 사용량이 많다는 특징이 있다.
4. 팀 정렬
합병정렬, 삽입 정렬이 혼용된 하이브리드 정렬 알고리즘이다.
합병정렬을 기반으로 구현, 일정 크기 이하의 부분 리스트에 대해 이진 삽입 정렬을
활용한다.
정렬을 한다는 것이 코딩에서 많이 쓰이기도 하고 나중에 프로젝트 할 때
쓸만한 지식이 있지는 않을 까해서 영상을 시청하게 되었다.
정렬의 종류가 이렇게 많이 있다는것을 알았다.
역시 우물 안에 있는 그 우물 주걱 안에 있는 개구리 였다.
원래 알고 있던 버블 정렬(?) 이 삽입 정렬 이였던 것 같은데
나머지 정렬들을 신기한 방식으로 정렬을 해서 흥미로웠다.
그리고 합병 정렬도 장점들만 모은 정렬 알고리즘이라서 오 되게 신기했다.
나중에 혹시라도 대규모 크기의 리스트를 정렬하거나 할때 다시 한번 영상을 시청
해봐야겠다.
'코딩 영상 리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규화가 뭘까 (0) | 2024.03.13 |
---|---|
JSON 이란 ??? (1) | 2024.03.08 |
JAVA JVM , JRE , JDK 의 정체는?? (0) | 2024.03.08 |
디스코드가 10조 메시지를 저장하는 방법?! 리뷰 (0) | 2024.03.04 |
Stream 에 대해서 (1) | 2023.12.20 |